본문 바로가기
이슈

석면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뚠뚠쓰 2017. 4. 11.

안녕하세요 뚠뚠이입니다

오늘은 지금 한창 화제가 되고 있는 인물인

바로 석면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현재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 올라와 있으며

석면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해요.


석면이란?

석면(石綿, 문화어: 돌솜), 석융(石絨), 애스베스터스(영어: asbestos, 아스베스토스)는 자연계에서 존재하는 섬유상 규산광물의 총칭으로

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석면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 지정 1급 발암물질로 호흡을 통해 그 가루를 마시면 20년에서 40년의 잠복기를 거쳐 폐암이나 석면폐, 늑막이나 흉막에 암이 생기는 악성 중피종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국제암연구소(IARC)는 석면이 함유된 탈크(활석)1급 발암물질로 지정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

최근 대한민국에서 화장품과 베이비파우더등에서 석면활석이 검출되어 논란이 되고 있고 그 위험성 때문에 200911일부터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해 석면이 0.1% 이상 함유된 건축자재 등의 제품은 제조, 수입, 사용이 금지됐다.





사용 역사[편집]

고대 그리스 - 아테네의 신전 안에서 금램프(등불)의 심지로 사용 되었고 로마 웨스터 신전의 영원의 불의 심지를 만들었다.

더욱이 냅킨, 여성의 머리 장식, 상류계급의 의복, 황족(皇族)의 시의(屍衣)등에도 사용되었다. 기원 77년에 로마에서 완성된 서양 최초의 백과사전인 박물지(博物誌) 프리니우스편에는 '타기 어려운 린네르가 발명되어 살아 있는 린네르로 불리고 있다.

석기시대 - 수단과 케냐에서 사용한 흔적이 있다. 기원전 2500년에 핀란드에서는 석면의 존재를 인식하고 있었다.

산업혁명 이후 ~ 2차 세계 대전 이전 - 석면의 방적법이 개량되어 석면포, 석면지가 대량생산되었다. 1862년 런던 만국박람회에는 캐나다산 석면원석이 전시되었고, 1877년 캐나다의 퀘벡 지방과 남아프리카에서 대광맥이 발견되었다. 특히 전쟁에서 필요한 군함, 전차, 군용기 등이 두꺼운 단열재를 필요로 하고, 방독마스크가 필터용 청석면을 필요로 하였기 때문에 석면산업의 호황을 가져다 주었다.

2차 세계 대전 - 한국에서 석면이 공업용으로서 대량으로 사용되었던 제 1시기가 바로 일본에 의한 것이며, 그들이 일으킨 전쟁에 의한 결과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업용 원료로서 석면이 가진 특성이 밝혀 진 것이 20세기 초로, 석면은 이때부터 건설에서 자동차의 제조에 이르기까지 3,000여 종류에 달하는 공업제품에 사용되어 왔다. 2차 세계대전중에 일본은 이러한 공장에 강제로 끌고 온 조선인 징용자와 특히 소년 소녀들까지도 희생의 제물로 삼았다.[1]

현대 - 1966년 세계 석면 생산량은 28십만 톤에 이르렀고 1975년에는 52십만 톤으로 증가했다. 석면의 산출은 러시아와 캐나다가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역할과 용도

건축재료(90%) - 이 중 50%는 석면슬레이트(slate)[3] 를 제조. 나머지는 건재, 지붕, 외벽, 칸막이, 내장재로 사용.

차량 부품의 재료(6.5%) - 자동차의 브레이크 라이닝(brake lining)[4], 클러치펜싱 등

기계(2%) - 산업기계, 토목건설기계, 크레인, 공작기계 등

화학설비(0.6%) - 내열, 내산, 내알카리 부문

수도(0.4%) - 상수도, 간이수도, 농업용수, 공업용수

선박 공업(0.1%) - 선박, 전기절연, 내열재료 부문

산업기계관계(0.1%) - 보일러, 굴뚝, 방화벽

기타 (0.3%)




건축용 자재

1982년 영국의 Joseph Aspdin에 의해 오늘날 시멘트 제조공법이 개발된 이래로 시멘트를 응용한 많은 건축자재들이 개발되었으며 석면 시멘트의 건축자재는 강도보완 및 우수한 물 흡수력과 윤활성으로 압출시 제품 표면을 매끄럽게 하며 생산성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불연성, 단열성,내구성,절연성이 뛰어나 소비량의 약 80%을 건축분야에서 활용하고 있다.

주요 건축자재 용도로는

마감재:장식,음향조절,방화용으로 벽과 천장에 분사 또는 미장바름으로 사용하고 철골부재에 내화피복으로 사용

단열 및 보온재:급수관,증기관,덕트,보일러 및 온수탱크에 보온재로 사용

기타수장재:비닐석면 바닥타일,천장타일,시멘트판,벽판,지붕용 골슬레이트등으로사용

기타:배관공사의 플랜지이음에서의 가스켓,석면시멘크관,고온물질 취급용장갑 및 방석등

목조 건물 : 지붕에 사용하는 기와에 사용하는데, 석면과 시멘트를 섞어서 굳힌 다음에 표면을 착색하여 만듦

비목조 건물 : 철골이 열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녹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내화 피복재로 사용함